안녕하세요
저는 직장인이자 동시에 임대사업자여서 회사에서 해주는 연말정산 외에 제가 직접 해야할 임대 사업 관련 신고들이 있는데요, 그 중 하나가 부가가치세, 부가세입니다.
Q. 부가가치세 = 부가세란 무엇인가요?
상품, 재화의 거래나 서비스, 용역의 제공 과정에서 얻는 부가가치(이윤)에 대해 징수하는 세금입니다. 임대사업자의 경우 월세의 10%나 임차보증금을 정기예금으로 예치한 경우의 이자 10%를 납부해야합니다. 상가 임대사업자의 경우에는 계약서를 월세 10%의 세금을 따로 납부한다고 작성하여 임대사업자의 경우에는 세금을 함께 받아서 좋고, 또 임차인의 경우에는 해당 세금을 다시 환급받을 수 있어 누이좋고 매부좋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 매출세액 - 매입세액
Q. 수익이 하나도 없어요, 0원인데도 부가세 신고해야 할까요?
네, 신고해야합니다. "무실적 신고" 라고 하여 홈택스에서 무실적 신고를 해주셔야 합니다. 또는 보이는 ARS, 1544-9944로 전화하셔서 아래와 같이 진행해주시면 간단하게 무실적 신고가 가능합니다.
1. 보이는 ARS 선택
2. 부가가치세 신고
3. 무실적 신고
4.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5. 주민등록번호 입력
6. 신고서 작성
7. 신고서 제출
Q. 부가세 언제 신고해야 하나요?
이 부가가치세는 매년 2번 상반기, 하반기의 수익에 대한 부가세 신고를 두 번 진행하는데요, 1월 1일~25일에 작년 하반기에 대해 그리고 7월 1일~25일 동안은 같은해 지난 상반기에 대해 부가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즉, 부가가치세 신고는 1월과 그리고 7월 두 번입니다. (간이 사업자의 경우 년 1회)
Q. 부가세 어떻게 신고해야 하나요?
부가세는 인터넷 홈택스에서 개인 사업자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신고가 가능합니다. 자세하게 홈택스 방법을 알려드리기 위해 작성한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부가세 홈택스로 신고하는 방법 feat. 매년 22만원 벌기
임대사업자 부가세 홈택스 신고 방법 (+매년 22만원 벌기)
안녕하세요, 직장인과 임대사업을 함께 하고 있는 티끌지입니다. 아마 이전의 글을 보시고 신고 방법을 보러 오신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요, 잘 오셨습니다! 이제 부가세를 실전으로 한번 신고
jilisangaja.tistory.com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모두 부자되시길 바랍니다.
'임대사업자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사업자 부가세 홈택스 신고 방법 (+매년 22만원 벌기) (2) | 2023.07.13 |
---|---|
임대사업자 세금계산서 홈택스 1분안에 발급 완료! (0) | 2023.07.06 |
[임대사업자] 홈택스로 전자세금계산서 정확하게 발행하는 방법 (0) | 2023.06.24 |
[임대사업자] 전자세금용 인증서 발급 및 홈택스 로그인 방법 (0) | 2023.06.24 |